크롬 VS 엣지브라우저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을까? (2023년 ver)

    728x90
    반응형

    크롬 VS 엣지브라우저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을까?

     

    크롬과 엣지브라우저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내용으로 팀원들간에 썰전이 벌어진적이 있었다. 물론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둘다 쓸 것을 이야기 할 수 있겠지만 막상 사용하다보면 즐겨찾기 연동 그리고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에 맞춰 셋팅해야 하는 것이 한두가지가 아니기에 그 썰전을 벌인 팀원들도 한두번 고민한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오늘은 두 브라우저 중 주력으로 사용해야 하는 이유와 더불어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필자가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한다. 

    🎙️ 크롬 vs 엣지브라우저 비교 (2024ver)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클릭

     

     

    크롬브라우저와 엣지브라우저 비교

     

    구분 구글 크롬 브라우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브라우저
    브라우저 엔진 Blink Blink
    자바스크립트 엔진 V8 Chakra
    기본 검색 엔진 Google Bing
    확장 기능 많음 일부 있음
    개인 정보 보호 일부 기능 지원 개선된 기능 지원
    PDF 뷰어 내장 내장
    플래시 플레이어 내장 내장
    동기화 기능 구글 계정 사용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사용
    오프라인 모드 지원 지원
    주소창 검색 기능 지원 지원
    보안 기능 안정적 더 안정적
    도움말 및 지원 온라인 내장

     

    우선 성능비교 면을 살펴보자면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차이점이 있다면 동기화에 구글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와 확장기능이 엣지브라우저 자체 지원은 부족하다는 점이다. 

     

    엣지브라우저에서도 크롬브라우저에 사용되는 확장기능을 또 이용못하는 것은 아니라서 이 부분은 단점이나 차이점으로 구분되기에는 사실 무리가 있다는 점은 먼저 일러둔다. 

     

     

    크롬브라우저 vs 엣지브라우저 속도

    동급

     

    속도는 둘다 큰 차이점이 없을 정도로 빠르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속도를 측정하는 척도는 메모리 점유율과 페이지 로드 속도인데 이 둘은 메모리 16GB이상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한다 할지라도 별차이점이 없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크롬브라우저 vs 엣지브라우저 동기화기능

    크롬브라우저 우세

     

    크롬브라우저와 엣지브라우저의 동기화 기능을 객관적으로 표현하자면 크롬브라우저가 우세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크롬브라우저의 경우 최강 OS인 안드로이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도 윈도우 OS라는 막강한 소프트파워를 지니고 있기는 한데 모바일에 비해서 휴대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유연하지는 못하다. 

     

    게다가 크로스플랫폼 즉, 다른 기기를 이용할 때에도 크롬브라우저는 구글아이디를 통해 공유된 정보는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옮겨주는 반면, 엣지브라우저는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아이디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노트북이나 태블릿이라 할지라도 동기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애를 먹은 측면도 있었다. 

     

    휴대성 측면에서도 모바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요즘 구글 외 다른 서비스도 구글 아이디 동기화를 기본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기화 기능은 북마크 및 아이디 자동로그인 측면에서도 크롬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크롬브라우저 vs 엣지브라우저 보안 기능

    크롬브라우저 우세

     

    보안이라 함은 공공장소에서 사용했을 경우에 의견이 맞춰진 부분이 있다.

     

    우선 크롬브라우저가 우세한 이유는 공공장소에서 동기화를 했을 때 북마크를 동기화 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물어보는 대목과 차후 사용하지 않게 되었을 때 로그아웃을 할 경우 모든 정보를 삭제하고 게스트 모드로 변경되는 반면 엣지브라우저는 그렇지 않다.

     

    엣지브라우저는 로그인을 한 후 한번 동기화를 시도하여 모든 정보를 해당 컴퓨터에 입력하고 난 후 로그아웃을 한다 할지라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크롬브라우저 vs 엣지브라우저 호환성문제

    크롬브라우저 우세

     

    웹  5.0 지원은 둘다 완벽하게 수행한다. 그러나 챗 GPT활용을 하다 발견한 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엣지브라우저에서 챗 GPT관련 정보를 스크롤 & 드래그를 하여 정보를 복사하려 했지만 되지 않는 버그를 발견했다. 

     

    즉, 크롬브라우저는 이런 호환성면에서 전혀 걱정할 것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엣지브라우저 만큼은 이 부분에서 미흡함을 보였다. 이 뿐만이 아니다.

     

    넷플릭스에서도 오류를 발생시킨다. 대표적인 오류는 바로 "D7361-1254"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오류는 결과적으로 보안상 이유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거나 영상을 재생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오류다. 

     

    만일 이 오류가 엣지브라우저에서 발생했다면 크로미움(#크롬 오픈소스 프로젝트 이름) 버전이 낮아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크롬브라우저를 이용할 경우 깔끔하게 해결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크롬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것이 나도 모르게 생길 오류에서 해방되는 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엣지브라우저는 무조건 단점만 있는가?

     

    크롬이 부각된 이유는 다름아닌 엣지브라우저가 크롬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크로미움 프로젝트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므로 크롬 역시 크로미움을 기반하여 제작됐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크로미움과 크롬은 별개의 문제다. 그러나 크롬이 크로미움의 시초가 맞고 크로미움 프로젝트에서는 기본적으로 크롬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단점이 있을 때마다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있는 반면 엣지브라우저는 전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직원의 역량에 달려 있다. 

     

    100명의 개발자가 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것은 크롬브라우저
    10명의 개발자가 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것은 엣지브라우저 

     

    이쯤으로 생각하면 쉽다. 즉, 업데이트만 빠르게 이루어진다면 넷플릭스 시청부터 시작해 단점이 많이 보완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지닌 것이 엣지브라우저라 할 수 있다. 

     

    그럼 엣지브라우저의 최대 장점을 들여다보면 그 유명한 챗 GPT가 존재한다. 

     

    챗 GPT는 엣지브라우저 맨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하루에 질문량이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미션을 통해서 충분히 그 횟수를 늘릴 수 있기에 사실상 무제한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챗 GPT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검색된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필터링 해서 보여주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위에 있는 표도 챗 GPT가 인터넷에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표로 보기 좋게 필터링 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당장 아래에 있는 내용을 엣지브라우저에 있는 챗 GPT 서비스를 통해 요청해보라

    다이어트 오전 식단표를 표로 만들어줘

     

    그럼 아래의 내용으로 표가 자동으로 완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표를 만드는 수고스러움과 자료를 찾는 수고스러움이 다소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은 엣지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하는 동기를 부여해준다고 볼 수 있다.

     

     

    결론

    둘 다 쓰는 것이 좋다. 

     

    결론은 둘 다 쓰는 것이 좋다고 여겨진다. 챗 GPT는 의외로 굉장히 좋은 도구다. 특히 인터넷 정보를 기반으로 요약해주기 때문에 만일 검색하여 정보를 취합하는 것이 굉장히 귀찮다면 한번쯤 이용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오직 엣지브라우저를 이용해야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엣지브라우저 역시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단 윈도에서 지우지 말고 그냥 사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크롬브라우저를 주력으로 이용하고 엣지브라우저를 보조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챗 GPT가 등장한 이후에는 블로그를 작성할 때 챗 GPT를 항시 옆에 띄워두고 써야 하기 때문에 블로그 용도로는 엣지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 

     

    썰전을 벌일 필요 없이 시간 아깝게 개인의 취향이므로 그냥 존중하고 서로의 의견을 받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여겨진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