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국가검진 도입되면 장점과 단점은?
- 생활-사회-정치팁
- 2024. 11. 18.
대장내시경을 국가검진으로 도입하려는 시도가 진행중입니다. 검진비용이 많은 것을 보면 환영하는 입장이지만 그래도 이면에 숨어 있는 단점에 대해서도 조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대장내시경 국가검진 시범사업 서 대장암의 전 단계인 선종 44% 검출
대장내시경을 도입한 결과 검사에 참여했던 참여자의 44%에서 선종을 검출하게 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이는 분명 환영할만한 일입니다.
음주와 자극적인 식습관을 지닌 우리나라 사람들로썬 필수로 받아야 하는 검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대장암에 걸릴 경우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지만 발견 시점이 늦춰질수록 완치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선종을 44% 검출했다는 것은 이 글을 보고 있는 누군가도 꼭 필요한 검진이기에 해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입 시 장점
말 그대로 선종을 미리 확인하고 제거할 수 있기에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1차 검진으로 활용되는 분변잠혈검사에 비해 대장내시경은 정확도가 높아 위양성 및 위음성 결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도입시 단점
우선 검사 과정에 대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대장내시경은 준비 과정이 복잡하고 검사 자체가 불편하기 때문에 검사를 받는 처지에서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를 하던 도중 장 출혈 혹은 장 천공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고령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검사 자체가 부담스러운 상황이 될수도 있는 것이지요.
건강검진에 포함하면 보험기금에 문제는 없을까?
국가 검진에 포함을 하게 되면 당연히 부담이 되겠지요. 하지만 검사를 늘려 추후에 들어갈 더 많은 비용을 줄이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사망율을 낮추는 것도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결론
결론은 국립암센터는 시범사업을 토대로 국가 암검진 도입의 타당성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위 흐름의 귀추를 주목해볼만합니다.
'생활-사회-정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미사일 개암? 이름을 그렇게 지은 이유 (1) | 2024.11.22 |
---|---|
브랸스크주 카라체프 외곽의 제1046 무기고 왜 겨냥했을까? (3) | 2024.11.20 |
지구 온도 1.53도 올라가면 무슨 변화가? (1) | 2024.11.16 |
루비콘 강을 건넜다는 말은 무슨 뜻 인가? (2) | 2024.11.13 |
빅맥 vs 1955 어떤것을 먹으면 좋을까? (0) | 2024.11.12 |